본문 바로가기
건강

"당장 멈추세요" 성형외과의사가 경고하는 구강호흡의 위험성

by 미디어엔터 2022. 2. 26.
728x170

코로 숨을 쉬던 입으로 숨을 쉬던 그게 무슨 상관이야? 가볍게 생각하는 분이 있다며 지금 당장 입으로 숨쉬는 걸 멈춰야 합니다.

 

이제부터 왜그런지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코로 숨을 쉴때는 공기가 기도를 거쳐 폐로 들어갑니다. 이 과정에서 차갑고 건조한 공기는 따듯하고 습한 공기로 바뀌게되며 공기중의 먼지와 바이러스 병원균은 코털 비갑개 점막에 달라 붙어서 걸러지게 됩니다.

 

 

그게 바로 코딱지입니다. 그리고 면역기관들인 아데노이드와 편도 등이 자리잡고 있는데 따듯하고 촉촉하고 정화된 공기가 지나갈때는 편도선이 할일이 별로 없죠.

 

 

그런데 이제 입으로 숨을 쉬어 볼까요?

 

입을 통해서는 차고 건조하고 더러운 공기가 다이렉트로 편도를 자극하게 됩니다. 그러면 아데노이드와 편도는 자꾸 자극을 받으니까 비대증이 오게 됩니다. 그결과 입을 벌리고 숨을 쉬면 쉴수록 점점 코로 숨쉬는게 힘들어 집니다.

 

 

코가 아닌 입으로 호흡을 하는 이유로는 감기나 비염이 가장 흔하고, 그밖에 축농증 아데노이드 편도선, 비대도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을 계속 상황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해줘야 합니다.

 

이 밖에도 입으로 숨을 쉬게되면 치아와 잇몸이 약해져서 구내염, 치주염 같은 구강질환이 자주 생기고, 침이 마르면서 입냄새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입으로 숨을쉬게 되면 코로 숨쉬는 것보다 폐로 보내는 공기의 양이 20%정도 적습니다. 산소의 부족은 기억력 저하, 학습장애, 특히 아이들의 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코로 숨쉬는 습관은 외모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데요. 의사유튜버인 라인만드는 의사 닥터권 채널에서 소개된 내용에 따르면 충격적이기까지 합니다.

 

코로 숨쉬는 사람과 입으로 숨쉬는 사람의 얼굴을 비교해 볼까요?

 

 

건강하고 또렸해 보이는 왼쪽과 달리 오른쪽은 눈이 피곤해보이고 다크서클이 보입니다. 코는 매부리코에 턱이 짧고 목은 거북목에, 덧니 그리고 돌출입까지..

 

대체 숨쉬는 방법이 이런 외모랑 무슨 상관이 있는걸까요?

 

 

입을 다물고 코로 숨을 쉬는 사람은 혀가 구강 전체에 꽉차게 되죠, 그 누르는 힘에 의해서 턱뼈가 위아래 양옆으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발달 하게 됩니다.

 

 

하지만 입을 벌리고 숨을 쉬면 어떻게 될까요?

 

 

턱뼈를 누르고 있던 혀가 내려가니까 턱뼈는 밖이 아니라 자꾸 안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따라서 이가 제대로 날수있는 공간이 없어지게 되죠. 덧니나 돌출니가 생기게 됩니다.

 

라인만드는 의사 닥터권

 

그리고 이를 꽉 다물고 있어야 아래 위 이가 딱 맞물리면서 자라는데, 제 멋대로 자라버리니까 비로 부정교합이 생기게됩니다. 또한 위턱뼈랑 함께 성장해야 할 아래턱뼈도 제대로 자라지 못하면서 턱이 짧아지게 됩니다.

 

당연히 이런 현상은 성장기에 더 극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 청소년기에 숨쉬는 습관은 성인이 되었을 때 얼굴 모양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조회수 높은글 함께보기

 

"이중턱 꼼짝마" 현직의사가 알려주는 턱살 순삭운동

나이가 들면서 목이 쳐지고, 늘어난 살에 이중턱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이는 목근이 얇아지고 적절한긴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다이어트를 열심히 해서 다른부위 살은

caremeby.com

 

"지금 당장 끊으세요" 약사가 들려주는 혈관을 막히게 하는 음료 4가지

식약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이 당을 섭취하는 경로의 60%는 가공식품, 그중에서도 음료에서 가장 많이 섭취한다고 합니다. 평소 저도 습관적으로 마시는 음료에 이렇게 과당

caremeby.com

 

구강암 초기증상 절대 놓치지 마세요

흔하지 않지만 예후가 나쁜 대표적인 암이 구강암입니다. 구강암은 잇몸, 혀, 입술, 턱뼈 등에 발생하는 암을 말합니다. 암이 생긴 부위를 잘라내면서 외관이 크게 달라져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

caremeby.com

 

영상보기

 

그리드형(광고전용)